<전설의 무대 아카이브K> 다시보기
SBS 창사 30주년 특별기획 프로그램
우리가요 채널
우리가요의 오리지널 콘텐츠
아카이브K 챌린지
나만의 자료를 모두의 아카이브로
우리가요를 기억하다
대중음악의 역사를 만드는 음악인 이야기
우리가요를 기록하다
대중음악을 기록하는 아카이버 이야기
우리가요 연대기
각 연도별 우리가요의 기록을 찾아보세요
- 가수
- 작곡/작사
- 편곡/연주
- 장소
- 관계자






























1950년대
김시스터즈의 미국진출
1953년 결성된 '김시스터즈'는 아시아 최초로 미국 진출에 성공한 걸그룹으로 당시 미국 최고의 버라이어티쇼에 소개된 후 상당한 인기를 끌면서 한류의 원조로 평가 받고있다.
1950년대
신중현
한국 '록의 대부'로 불리는 신중현은 1955년 미8군 쇼를 통해 데뷔했다. 1963년 한국 최초의 록큰롤 밴드인 '애드포'를 조직하면서 한국적 록음악의 지평을 넓힌 인물로 평가 받는다.
1950년대
미8군 쇼
6·25전쟁과 함께 미군이 주둔하기 시작한 1953년부터 주한미군 및 군무원을 대상으로 한국 예술인들이 벌인 쇼로 다양한 장르와 스타를 배출해 내는 등 대중음악사의 르네상스를 열었다.
1960년대
10대 가수 가요제
1966년 시작된 MBC 주관 연말 가요 프로그램으로 한해 최고의 가수 10명을 선정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시상식이자 영광의 무대였다.
1960년대
손석우
최초의 팝 계열 가요 작곡가로 평가되는 손석우는 1961년 <노오란 샤쓰의 사나이>로 해방 이후 최대의 음반 판매를 기록하며 한국 가요계에 큰 지각 변동을 일으킨 인물이다.
1980년대
동아기획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이 창작곡으로 노래하는 시대를 본격적으로 연 음반기획사로 들국화, 김현식, 봄여름가을겨울, 김현철 등이 활동했다.
1980년대
컬러 TV 보급
TV는 대중음악 형성에 가장 강력하게 기여한 매체이다. 1980년 12월 1일, 컬러 TV가 보급되면서 주류 대중음악계는 비주얼이 강조된 상업적 성격의 음악들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1990년대
공연클럽 합법화
1999년 11월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가수, DJ, 코미디언, 악사 등 문화예술인이 유흥접객원에서 제외되면서 일반음식점에서도 공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대
테디
힙합그룹 원타임의 멤버이자, YG엔터테인먼트 메인프로듀서로 활동 중인 테디는 2NE1, 빅뱅, 블랙핑크 등 YG 소속 아티스트들의 프로듀싱을 담당하며 K-POP 열풍을 주도하고 있다.

2000년대
성시경
이문세, 변진섭, 신승훈, 조성모로 부터 이어지는 정통발라드의 대표 주자이자 SBS 창사 30주년 특별기획 <기록의 무대 아카이브K>의 MC이다.
2010년대
한국 최초의 빌보드 1위
한국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은 2018년 발매한 《LOVE YOURSELF 轉 'Tear'》는 빌보드 200 1위를 기록하며 최초로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 되었다.
2010년대
서영도
서영도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뮤지션 중 한 명이며 밴드 활동, 세션, 라이브, 뮤지컬 등에서 전방위적 활약을 펼치고 있는 베이시스트이다.
- 최근 인기 검색어
- 김도형
- 명진í¬
- G-DRAGON (권지용)
- bigbang
- 송대관
- 황치열
- 아카이브K챌린지 자료 (잔나비 이미지2)
- 김경호
- Wanna One (워너원)
- 유튜브
- 우리가요 사용안내
- 우리가요 시작하기
- 우리가요 문서 만들기
- 우리가요 문서 편집하기
- 우리가요 그림 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