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희은
가수정보[쉬운편집 | 소스편집 | 접기]
- 데뷔일
- 1971.09
- 데뷔곡
- 아침이슬
- 활동연도
- 1970, 1980, 1990, 2000, 2010 년대
- 활동유형
- 솔로
- 활동장르
- 포크/블루스, 발라드, CCM, 국내CCM, 찬송가, 록/메탈, 성인가요, 댄스
- 국적
- 대한민국
- 생일
- 1952.08.13
- 별자리
- 사자자리
- 혈액형
- A형
가수소개[쉬운편집 | 소스편집 | 접기]
양희은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포크 가수이자 방송인이다. 70년대에 포크 가수로 활동했다는 이유로 본의 아닌 정치적 탄압을 많이 받은 인물이기도 하지만 훗날 우리네 삶의 단면들을 어루만지고 공감했다는 내용으로 재조명을 받으면서 현재는 남녀노소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사랑을 받는 가수로 자리매김했다. 90년대 이후로는 가수뿐만 아니라 방송인으로서도 활발히 얼굴을 비추며 대중문화 곳곳에서 소통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1952년 서울 태생인 양희은은 학창시절 YMCA 산하의 청소년 쉼터 '청개구리 (장소)'라는 곳에서 여러 포크 가수들을 만나게 됐다고 한다. 그때 만난 가수들이 김민기를 비롯해 송창식, 서유석, 라나에로스포, 뜨와에무와 등이었다고 전해지는데, 특히 김민기와의 조우는 훗날 그의 음악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터닝포인트로 작용했다. 훗날 평단이 양희은에 대해 "김민기의 페르소나"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했는데 양희은이 김민기의 작품을 자주 불렀고 그를 기반으로 음반도 발표하면서 젊은이들의 많은 지지를 얻어냈기 때문이었다.
'아침 이슬'은 1973년 당시 박정희 정부에 의해 건전가요로 지정되기도 했지만 이후 박정희의 유신정권을 반대하는 대학생들이 시위 현장에서 즐겨 부르면서 얼마 못가 금지곡 처분을 받았다.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타오르고"라는 가사가 적화통일을 묘사하기 때문에 불순하다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이유였다. 이후 양희은의 곡들은 상당수가 금지곡 처분을 받는 아픔을 당해야 했다.
1980년 방송통폐합이 이루어지자 잠시 미국으로 떠나 있던 그는 1984년 자신의 80년대 대표 넘버인 '하얀 목련'을 히트시키며 다시금 가요계에 컴백했다. 1985년에는 시인과 촌장의 하덕규가 만든 '한계령'을 발표했는데 발매 당시엔 별 반응이 없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1990년 재발표될 때에는 평단과 대중의 사랑을 동시에 받았다.
이후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을 계기로 금지곡들이 모두 해금 조치를 받아 자유롭게 부르고 방송에서 틀 수 있게 되면서 재평가되기도 했다. 또한, 양희은은 가수뿐만 아니라 라디오 DJ로서도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과거 CBS와 TBC, 그리고 SBS와 MBC까지 다수의 방송국에서 라디오를 진행한 경력을 갖고 있을 정도로 라디오 매체에서 그의 영향력은 꽤 큰 편이다. 그 외에도 여러 방송을 통해 꾸준히 대중과의 소통을 이어왔고, 2014년부터는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로 이적, 윤종신, 이상순, 악동뮤지션, 강승원, 성시경 등 가요계 선후배들과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1952년 서울 태생인 양희은은 학창시절 YMCA 산하의 청소년 쉼터 '청개구리 (장소)'라는 곳에서 여러 포크 가수들을 만나게 됐다고 한다. 그때 만난 가수들이 김민기를 비롯해 송창식, 서유석, 라나에로스포, 뜨와에무와 등이었다고 전해지는데, 특히 김민기와의 조우는 훗날 그의 음악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터닝포인트로 작용했다. 훗날 평단이 양희은에 대해 "김민기의 페르소나"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했는데 양희은이 김민기의 작품을 자주 불렀고 그를 기반으로 음반도 발표하면서 젊은이들의 많은 지지를 얻어냈기 때문이었다.
'아침 이슬'은 1973년 당시 박정희 정부에 의해 건전가요로 지정되기도 했지만 이후 박정희의 유신정권을 반대하는 대학생들이 시위 현장에서 즐겨 부르면서 얼마 못가 금지곡 처분을 받았다.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타오르고"라는 가사가 적화통일을 묘사하기 때문에 불순하다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이유였다. 이후 양희은의 곡들은 상당수가 금지곡 처분을 받는 아픔을 당해야 했다.
1980년 방송통폐합이 이루어지자 잠시 미국으로 떠나 있던 그는 1984년 자신의 80년대 대표 넘버인 '하얀 목련'을 히트시키며 다시금 가요계에 컴백했다. 1985년에는 시인과 촌장의 하덕규가 만든 '한계령'을 발표했는데 발매 당시엔 별 반응이 없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1990년 재발표될 때에는 평단과 대중의 사랑을 동시에 받았다.
이후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을 계기로 금지곡들이 모두 해금 조치를 받아 자유롭게 부르고 방송에서 틀 수 있게 되면서 재평가되기도 했다. 또한, 양희은은 가수뿐만 아니라 라디오 DJ로서도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과거 CBS와 TBC, 그리고 SBS와 MBC까지 다수의 방송국에서 라디오를 진행한 경력을 갖고 있을 정도로 라디오 매체에서 그의 영향력은 꽤 큰 편이다. 그 외에도 여러 방송을 통해 꾸준히 대중과의 소통을 이어왔고, 2014년부터는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로 이적, 윤종신, 이상순, 악동뮤지션, 강승원, 성시경 등 가요계 선후배들과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수상이력[쉬운편집 | 소스편집 | 접기]
- 2019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은관문장
- 제16회 한국대중음악상 : 공로상
- 2004 KBS 가요대축제 : 올해의 가수상
- 2003 골든디스크 어워즈 : 공로상
- 2003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 특별공로상 (대통령표창)
정규[쉬운편집 | 소스편집 | 접기]
- 1971년 -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아침이슬 / 세노야 세노야>[20]
- 1972년 -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2집 <아름다운 것들 / 서울로 가는 길 / 백구 / 작은 연못>
- 1973년 -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3집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21] / 행복의 나라 >
- 1974년 - 내 님의 사랑은... <내 님의 사랑은>
- 1975년 - 한 사람 <한 사람 / 세월이 가면>
- 1976년 - 양희은 Best <들길 따라서>
- 1978년 - Yang Hee Eun <산장의 여인 / 부모>
- 1979년 -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 / 고무줄놀이 / 늙은 군인의 노래 / 천릿길>
- 1980년 - 양희은 <이름 모를 소녀 / 빗속을 둘이서>
- 1981년 - 양희은 새노래 <어디만큼 왔니[22] / 누구나 다 있지>
- 1983년 - 양희은 신곡집 <하얀 목련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1985년 - 양희은의 새노래 모음 <한계령 / 찔레꽃 피면 / 우리가 오를 봉우리는>
- 1988년 - 양희은의 새노래 모음 <이별 이후 / 숲>
- 1991년 - 양희은 1991 <그 해, 겨울 /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 가을 아침>[23]
- 1995년 - 양희은 1995 <못다한 노래 / 내 나이 마흔 살에는>
- 1998년 - 양희은 1998 <저 하늘 구름 따라 / 연인들>
- 1999년 - 양희은 하나, 둘 (베스트 앨범)
- 1999년 - 양희은 셋, 사랑의 노래 (베스트 앨범, 리메이크 앨범) <사랑한 후에 / 내 사랑 내 곁에>
- 2001년 - 30 Years Anniversary <그대가 있음에 / 사랑, 당신을 위한 기도> 데뷔 30주년 앨범이지만, 양희은이 진행하는 여성시대 라디오에서 그 동안 양희은 진행하며 가장 기억에 남았던 청취자 추희숙 씨를 위해 만든 추모 앨범이다. 당시 말기암으로 제대로 몸도 못가누던 추희숙 씨가 4일에 걸쳐 보내온 편지를 보며 엄청난 감정을 느꼈던 듯 하다. 데뷔 30주년 앨범을 추모 성격의 앨범으로 제작하려고 했을 때 주위에서 걱정의 목소리도 있었지만 양희은의 강한 주장으로 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자세한 사연은 여기 참조.
- 2002년 - 30 Live (양희은 30주년 기념 라이브 앨범) <일곱 송이 수선화 / 사랑, 당신을 위한 기도>
- 2006년 - 양희은 35 (양희은 35주년 앨범) <인생의 선물 / 당신만 있어준다면>
- 2014년 - 2014 양희은 <나영이네 냉장고 / 당신 생각 / 내 생에 가장 아름다운 말>
CCM[쉬운편집 | 소스편집 | 접기]
- 1976년 - 찬송가와 캐롤/고요한 밤에 <주여 이제는 그곳에>
- 1987년 - 양희은 찬송가
- 1999년 - 양희은의 찬송가 1999
- 2007년 - 하나님의 노래
싱글[쉬운편집 | 소스편집 | 접기]
- 2014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배낭여행 (with 윤종신)>, <꽃병 (with 이적)>
- 2015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산책 (with 이상순)>, <엄마가 딸에게 (with 김창기, 김규리[24], 타이미)>, <슬픔 이젠 안녕 (with bk! of Astro Bits)>
- 2016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4월 (with 강승원)>, <요즘 어때? 위 러뷰 쏘 (with 김반장)>
- 2017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나무 (with 악동뮤지션)>
- 2018년 - 뜻밖의 만남 프로젝트 <늘 그대 (with 성시경, 심현보)>
대표곡
- 우리가요 사용안내
- 우리가요 시작하기
- 우리가요 문서 만들기
- 우리가요 문서 편집하기
- 우리가요 그림 올리기